GI지수란?
글리세믹 인덱스(Glycemic Index)의 약자로
탄수화물 섭취시 당으로 변환되어 흡수되는 속도를
수치화한것으로
당 변환이 빠른식품일수록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며
그로인해 지방의 축적을 유발합니다.
보통 우리가 탄수화물음식을 섭취하면
몸에서는 인슐린을 분비하여 포도당을
간과 근육등에 저장하는데
GI수치가 높은 식품은
저장하고도 남을정도의 혈당을 만들어 쓰고남은 양은 지방으로 변환된다.
위의 표를보면 GI지수기준표와 음식별 수치가 나와있다
0~54 이하는 낮음
55~69는 보통
70이상은 높음이다.
식이조절을 할때는 가급적 GI수치가 낮은 음식들로 구성하여야 효율적인 체중감량을 이뤄낼수있다. 단백질과 지방은 GI수치에 영향을 미치지않는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GI지수가 낮은 음식을 섭취하여 꾸준한 체중관리에 포커스를 맞춘다면
예외적인측면으로
운동선수나 강도높은 근육운동을 하는사람들은??
운동 영양학적으로 분석해보면
<운동영양학적인 측면>
일반적으로 GI지수가 높은 음식들은 살을 쉽게찌운다.하지만 운동량이 충분하거나 근육운동으로 근육의 회복이 필요할때는
단당류의 식품을 운동전,후 섭취하여 파워증가와 회복을 돕는다.
이러한 영양학적 섭취는 글리코겐 로딩을 충분하게 제공하여 운동시 더욱 폭발적인 힘을 낼수있다.
(예: 일부 보디빌더들은 운동전 식빵이나 감자등 GI수치가 높은 식품은 섭취한다.)
운동기능의 향상은 근육량의 증가로 이어지며
근육량의 증가는 궁극적으로는 체지방의 감소를 유발한다.
즉, 에너지 소모와 운동에 따라
GI지수가 높은 식품을 섭취해도 좋다는애기다.
다만 섭취량을 다 소비하지 못할시에는 지방으로 변환될 확률이 높으니
일반적인 식이요법을 중심으로 체중관리하는 분들은 GI수치를 확인하여 되도록 낮은 수치의 식품을 섭취하도록 노력하면 좋다~^^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